SUSTAINABILITY

Environmental

 
CHEMICAL SUBSTANCE

화학물질

해성디에스는 취급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한
인허가 및 적법 여부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추진 전략

해성디에스는 취급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한 인허가 및 적법 여부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엄격한 화학물질 안전 확보를 위해 도입 전 사전 승인 평가 진행, 저독성물질 전환, 취급금지 물질 제정 및 운영, 밸프스 캠페인, 화학시설 감시경보기능 구현 등으로 쾌적한 작업환경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 및 등급 관리, 저장 및 보관 기준은 협력회사에 전파/교육하여 동반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기준에 따라 제품에서의 유해물질 발생 저감을 시행하고자 RoHS, REACH 등 환경 규제를 점검하고 모든 제품에 대해서는 유해물질 성적서를 작성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해성디에스는 앞으로도 고위험물질의 제거 및 대체, 모든 화학물질의 전과정 관리를 통해 화학물질의 위해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사업장을 추구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중장기 목표

2030년 화학물질 배출율 0.02% 달성

해성디에스는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 2023년에는 배출(취급량 대비 배출량)이 0.08% 수준입니다.

제조공정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에 대해 금지 밎 제한물질을 제정하고 등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출량 저감을 위해 물질 대체, 방지시설 효율 향상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2030년까지 배출율을 0.02%까지 저감하고자 합니다.

개발/설계
개발/설계
  • 유해물질 미함류 원소재 검토
승인
승인
  • 유해물질 검토결과 승인
  • 성분정보 및 분석성적서 입수
생산
생산
  • 입고자재 샘플링 검사
  • 전산시스템 등록 및 이력관리
출하
출하
  • 출하제품 유해물질 샘플링 검사

주요 법규
대응 전략

게시물 목록
관련 법규 리스크 및 기회 잠재적 재무 영향 대응 전략
화학물질관리법
  • 법적요구사항 및 규제 강화
  • 환경오염 발생
  • 지역주민 민원 발생
  • 저독성 대체 물질 개발
  • 친환경 공정 신기술 확보
  • 환경 신기술 적용 비용 증가
  • 수자원 재이용 투자 비용 증가
  • 친환경 공정 개발 비용 증가
  • 고효율 환경방지시설 설치
  • 폐수방류수 재이용 시설 설치
  • 저독성 대체 물질 개발
화학물질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
EU RoHS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사용 제한 지침)

  • 법적요구사항 및 규제 강화
  • 친환경 제품 생산 공정 구현
  • 주요 제품의 시장 영향도 제고
  • 친환경 공정 개발 비용 증가
  • 친환경 인증 비용 증가
  • 주요 제품의 매출 증가
  • 친환경 인증
REACH

(화학물질 관리 제도)

위험요인

오염물질
오염물질

해성디에스는 사업 영위 과정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로 인해 수질, 대기, 악취, 폐기물 등 다양한 형태의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점진적으로 강화되는 법규 및 규제사항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 사업활동의 제약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기업 생존까지 연계될 수 있습니다.

대응방안
환경경영시스템(ISO14001)을 기반으로 하여 오염물질 배출 수준을 법 기준대비 50% 이하로 자체 관리기준을 선정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오염물질 누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재무적 영향
  • 수질/대기 기본 및 초과 부과금
시점
중기
화학물질
화학물질

2015년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의 화평법, 화관법은 매년 새롭게 개발되는 500만여 종의 다양한 신규 물질로부터 국민들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을 최소화 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이에 당사도 사고 예방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다양한 예방책을 갖추고 활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학물질 취급 과정에서 사고 발생 시 영업정지라는 막대한 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대응방안
화학사고 예방계획서 수립 및 이행, 취급시설 검사 및 진단, 장외영향평가 범위 제로화 등을 통해 화학사고를 예방하고 있으며, 사고발생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정기적인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재무적 영향
  • 환경책임보험 요율 증가(보험 증가)
시점
중기

기회요인

화학물질
화학물질

화학물질 분류 · 포장규정(CLP) 및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와 특정유해물질사용제한제도(RoHS)에 적용을 받는 규제물질 확대로 친환경 제품 생산체계를 시행하는 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은 시장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예정이다.

대응방안
해성디에스는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친환경제품 생산체계 연구개발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시장 파악을 통한 선제적인 투자로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고 친환경분야의 새로운 사업 기회로 영역을 확대할 것입니다.
재무적 영향
  • 주요 제품의 매출 증가
  • 기업의 시장 영향도 제고
시점
중기
TOPkeyboard_capslock
close